|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5 | ||
| 6 | 7 | 8 | 9 | 10 | 11 | 12 |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 27 | 28 | 29 | 30 | 
													Tags
													
											
												
												- 가양주
- 일본여행
- 달리기
- 마라톤 연습
- 텃밭
- 역사기행 부여
- 텃밭작물
- 작은 창고를 짓다
- 편백
- 장수 k샤모니
- 마당텃밭
- 백제를 만나는 부여
- 풀베기
- 귀농귀촌
- 막걸리 담기
- 일본
- 마라톤 훈련
- 옴천의 귀촌일기
- 장수 한우랑 사과랑 축제
- 2023풀코스 도전
- 장수 k샤모니 챌린지
- 시골살이
- 시익는 마을
- 장수
- 마라톤
- 제주도
- 가양주 담기
- 오다이바
- 양파농사
- 서정춘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4/27 (1)
산과물
 음나무(엄나무)  순 채취하기
			
			
				음나무(엄나무)  순 채취하기
				봄이 되면 반드시 먹어야 하는 나물이 있다. 이른바, 두릅 삼총사.가장 일찍 올라오는 땅두릅. 땅두릅은 정명으로 독활이다.땅두릅에 이어 올라오는 건 참두릅이다. 참두릅은 상표나 상품명이고 두릅나무가 정명이다. 미나리목 두릅나무과 두릅나무속 두릅나무이다. 마지막으로 조금 늦게 올라오는건 음나무이다. 정명이 음나무지만, 엄나무라고 더 많이 불리고, 강원도에서는 개두릅이라 부른다. 나는 두릅 삼총사중에서 개두릅(음나무)을 가장 좋아한다. 음나무순은 단풍잎처럼 생겼는데 아주 연하고 부드럽다. 음나무순을 데쳐서 먹어보면 살짝 쌉쓰름한맛이 첫맛이고 꼬들꼬들하다. 밥에 쌈싸듯 또는 고기쌈으로 꼭꼭 씹어보면 고기나 밥의 고소한맛과 잘 어울리고 삼키기전의 끝에 좀 단맛도 난다. 그냥 먹기에 쓴맛이 있지만, 초장이나 쌈..
				쫑맹의 農밀한 생활
				
				2025. 4. 27. 2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