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일본여행
- 텃밭
- 마라톤 훈련
- 작은 창고를 짓다
- 산수유
- 백제를 만나는 부여
- 가양주 담기
- 지붕 방수시트 덮기
- 서정춘
- 마당텃밭
- 편백
- 마라톤
- 막걸리 담기
- 오다이바
- 일본
- 텃밭작물
- 경량목구조 창고짓기
- 2023풀코스 도전
- 내손으로 직접 짓는 창고
- 제주도
- 시익는 마을
- 가양주
- 역사기행 부여
- 배롱나무
- 작은 집을 짓다
- 마라톤 연습
- 귀농귀촌
- 장수 한우랑 사과랑 축제
- 한평 창고 목재로 짓기
- 창고 직접 짓기
- Today
- Total
목록쫑맹의 農밀한 생활 (63)
산과물

지난해 봄, 도라지 종근을 3만원어치 사서 밭에 심었다. 그리고 나서 종근을 사서 심지말고 직접 내가 싹틔우고 키워서 이식해보자는 생각을 했다. 즉시 종묘상에서 5g짜리 도라지 씨앗을 샀다. 이걸 어디에 심을까 고민하다 마당 사과나무위에 그냥 흩뿌렸다. 그냥이라곤 했지만, 모래에 섞어서 골고루 뿌려놓고 물을 매일 주었다. 일주일쯤 뒤에 싹이나기 시작했다. 그후, 물주기를 멈췄고 그대로 방치되었다. 도라지 씨앗이 빽빽하게 뿌려지다보니 싹도 빽빽히 돋아났고, 풀이 날 틈조차 없어 풀관리도 하질 않았다. 여름이 되어 꽃이 피었고, 가을엔 씨앗이 달렸다. 가을 겨울이 지나 봄이 왔다.어제 도라지 씨뿌린곳을 살살 손으로 긁어내니 이제 막 싹을 틔우려는 도라지뿌리의 뇌두가 보이기 시작했다. 얼마나 나올까 했는데 한..

주말에는 '농삿일을 해야지' 하고 맘을 먹어도 웬놈의 일정이 주말마다 잡히는건가?주말에 놀러오는 사람들주말에 열리는 마라톤 대회주말에 예약된 치과병원 심지어 봄이왔음에도 주말에만 내리는 눈보라까지(?)장수의 봄은 4월에도 변화무쌍하다. 벌써 3월이 다 지나가고 4월이 시작되었다. 어쩔 수 없이 하루 연차휴가를 내고 평일에 농삿일을 시작했다. 오늘 할일은 산서 멧골밭에 두둑을 만들고, 도라지 심기. 주변 폐비닐이나 쓰레기 정리하기. 집근처있는 밭에 비닐멀칭하고 감자심기. 과연 아내 도움없이 하루에 다 끝낼수 있을까? 평소처럼 8시에 아침을 간단히 먹고 점심 도시락을 쌌다. 밖에 나가면 시장이 반찬이라 밥과 깍두기, 컵라면이면 족하다. 여기에 삶은 계란 하나와 믹스커피 하나. 주유소에서 휘발유를 사고, 농기..

지난 겨울은 눈싸움으로 시작해서 눈싸움으로 끝났다. 11월부터 폭설이 내리더니 올 3월중순까지 폭설이 내렸다. 밭에서 겨울을 나고 자라는 마늘,양파, 보리,밀에게는 좋은 일이겠지만, 내겐 눈을 치우느라 고통의 겨울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매서운 추위가 오고 세찬 바람이 불어도 봄은 시나브로 내곁에 와 있었다. 봄이 왔구나 깨닫는 순간 농사는 시작된다.먼저 지난해 수확하고 내버려 두었던 비닐을 제거해야 한다. 고추대나 들깨대도 뽑아내야 하고, 말뚝도 다시 다 수거해야 한다. 무너진 두둑을 다시 일구고 낙엽이나 잡풀을 걷어낸다. 그위에 멀칭할 이랑은 멀칭을 하고 작물을 심으면 된다.올해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감자 두고랑쯤 심고, 고구마는 한고랑을 심는다. 잡초관리하기 어려운 두고랑엔 참외와 수박을 심어 풀을 ..

내가 사는 마을은 해발 550미터의 산골이다. 울 마을 사람들은 찬바람부는 11월 중순부터 김장을 담기 시작한다. 나는 이웃집이 김장을 하는 11월부터 얻어먹기 시작했다. 올해도 11월초 앞집 할머니네 김장을 얻어 먹다가, 몇일 뒤엔 경기도 화성 지인을 만나 김장김치 한박스를 받아 열 댓명의 손님까지 치르며 맛있게 먹었다. 얼마 전 윗집이 김장을 해서 또 얻어다 먹었다. 어떤날은 김치만 네 종류를 꺼내 놓고 밥을 먹었다. 우리집 묵은 김장, 앞집 할머니네 김장, 경기도 화성 김장, 윗집김장각각 지역색과 다른손맛에 따라 김장도 각양각색이다. 허옇지만 시원한 맛의 경기도 김장과 다른 전라도 풍의 우리집, 윗집김치 그리고 충청도와 부산풍의 앞집김치. 어제 우리집도 남도 바닷가로 가서 부모님과 막네 처제네와 함..

가을은 단풍의 계절이다. 나무마다 붉은색, 노랑색으로 울긋불긋 꽃단장을 한다. 만산이 홍엽으로 물들면 집 근처 은행나무는 샛노랑 색으로 물감칠을 한다. 나무와 땅바닥에 온통 노랑주단을 깔아놓고 어서 나와 걸어보라고 나의 감성을 자극한다. 그 유혹에 빠저 은행나뭇길을 걸으면 곧 고약한 냄새가 코를 찌르고 이내 은행나뭇길을 산책한 걸 후회하게 된다(물론 도심지의 잘가꿔진 은행나뭇길은 아주 매력있고 감성충만하지만)이럴때 난 장화를 신고 고무장갑을 끼고 바구니 하나를 들고 은행나무 아래로 간다. 겨울철 간식 거리인 은행을 줍기 위해서다. 은행이 우리몸에 좋다는 건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난 미친척 챗지피티(CHAT GPT)에게 물었다."은행나무에서 열리는 은행의 효능과 부작용을 알려줘~"은행나무 열매인 은행은 ..

내겐 일년 농사를 지으면서 가장 손이 적게가는 작물이 바로 생강이 아닐까 싶다. 처음에는 들깨가 손안가고 편한줄 알았는데 들깨는 심을때도 힘들고, 물관리, 풀관리, 베고, 말리고, 털고, 고르기까지 고생이다. 그런데 생강은 5월초에 땅속 깊게 묻고, 볏짚 멀칭해주고 나면 거의 할 일이 없다. 장마철 한 두번 풀좀 뽑아주곤 가을 수확까지 기다리면 된다. 올해도 생강 한고랑을 심었다. 4월 말에 쟁기질을 하고 쇠스랑으로 풀을 파내서 두둑을 일궜다. 심기전까지 풀이 나지 않도록 부직포로 덮어두었다가 5월초에 생강종자 5kg을 심었다. 몇일 뒤에 볏짚으로 멀칭을 했다. 그후 거의 방치해둔다. 이른바 태평농법이다. 심고 40일쯤 지나서 대순같은 뾰족한 예쁜 새싹이 올라오고 한여름 무더위와 장마에 무럭무럭 자라난다..

가족들끼리 소식을 나누는 카톡방에 물고기 사진이 올라왔다. 진도에 살고 있는 동서가 낚시를 가서 잡은 사진이었다. 장어와 감성돔, 조기인데 상당히 큰게 손맛도 아주 짜릿했을듯 싶었다. 갑자기 내맘속에서도 낚시를 가고 싶다는 욕구가 샘솟았다. 아내에게 진도를 가자고 얘기했더니 좋다고 한다. 주말 날짜를 정하고 월요일 휴가를 하루 냈다. 아내는 휴가 를 소진해야 한다고 화요일까지 휴가를 냈다. 장수는 산골이고 진도는 바닷가라 한두번씩 오갈때는 산골에서 나는것들을 준비해간다. 이번에는 벼와 생강, 고사리, 감을 준비했다. 내가 직접 농약이나 비료도 쓰지않고 농사지은 나락180kg을 싣고, 밭에 가서 생강도 10kg캐서 실었다. 이른봄에 고사리 말린것도 한봉지 챙기고 요새 제철인 대봉시 감도 몇개 챙겼다. 벼는..

밭에는 여러 종류의 야생동물이 산다. 고라니, 너구리, 멧돼지, 두더지, 들쥐, 족제비, 오소리, 두꺼비, 맹꽁이, 개구리, 뱀, 고양이, 온갖 새들과 곤충들. 그들은 내가 내밭이라 부르는 토지에 머물기도 하고 집을 짓고 살기도 한다. 그들에게 있어 밭은 아주 좋은 놀이터이고 양식처이기도 하다. 봄이되면 난 그들의 놀이터를 파괴해 밭으로 만들고 작물을 심는다. 상추, 고추, 오이, 호박, 참외, 토마토, 가지,고구마, 감자를 심고 여름과 가을에는 수확을 한다. 그들은 내가 없는 사이 그 밭을 지배하며 놀이터로 만들고 내 농사를 파괴한다. 멧돼지는 온통 휘젓고 파버리며 쑥대밭을 만든다. 너구리는 옥수수를 기가 막히게 따먹는다. 메뚜기나 방아깨비는 갓나온 야채의 어린순을 모조리 갉아 먹는다. 땅속의 두더지도..

6월에 시작된 장마는 7월에도 계속되었다. 옛말에 '매와 술에 장사없다'는 말이 있는데, 내가 보기에 '장맛비에 농사없다' 란 말을 하고 싶다. 6월 장마가 오기전에 감자를 캐야 했는데 그러하질 못해 7월말 장마가 끝난뒤 8월이 되어서 감자를 캤다. 예상대로 많은 부분 썩어서 버린것만 한두박스가 나왔다. 두고랑 심어서 수확은 세박스쯤 된다. 6월 장마가 오기전에 마늘양파를 수확하고 들깨를 심어야 하는데 이또한 비때문에 심질 못했다. 밭은 그냥 비워두었고 그자리엔 풀이 내 키만큼 자라났다. 논두렁을 깍아줘야 했건만 그러하질 못했다. 논두렁 풀이 무성하고 논엔 그나마 벼가 무성하다. 그래도 벼농사는 잘 자라줘서 고마울뿐이다. 참외와 수박을 심고나서 7월 초복에 먹으려니 기대했지만 일단 심는 시기가 늦었고 비..

텃밭이 마당에 있어 매일 아침의 일상이 규칙적인 패턴을 갖고 있다. 일어나면 먼저 물한잔을 마시고 정신을 차린다. 이어서 옷을 주섬주섬 챙겨입고 마당 텃밭으로 나가 작물들에게 인사를 나눈다. 오늘 오이는 얼마나 컸나 살펴보고, 뱀처럼 쭉쭉 뻗어가는 수박은 머리가 어디까지 갔는지 살펴본다. 특히 수박이 암꽃이 몇마디에 폈는지가 중요해서 마디 갯수를 세면서 암꽃에 관심을 갖는다. 이어서 고추는 열매가 열리고 있는지, 가지 순 정리할건 없는지도 살핀다. 그리고 토마토와 참외가 있는 뒷편으로 간다. 하루가 다르게 쑥쑥 크는 토마토 줄기가 걸리는데는 없는지 보면서 고정시키면서 말뚝을 따라 커갈수있게 유인줄을 매어준다. 토마토 열매가 주렁주렁 달리고 있고 윗마디에는 꽃이 피고 있다. 참외도 3주 심었는데 따먹는 순..